본문 바로가기

FrontEnd 공부/JS와 관련된 고찰

(5)
브라우저에 google.com을 입력한다면? 브라우저에 google.com을 입력하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google 사이트로 이동할 것이다. 그렇다면 브라우저는 어떤 과정을 통해서 google사이트를 보여주는 것일까? 1. 도메인 주소 변환 : 도메인 주소 → IP 주소로 변환 우선 입력창에 google.com을 입력하면, 컴퓨터는 도메인 주소를 IP주소로 바꾸려 할 것이다. 이때, 이용하는 것이 바로 DNS 레코드이다. DNS는 일종의 전화번호부 라고 생각하면 된다. 컴퓨터는 각각 고유의 IP 주소를 가지고 있다. 우리가 흔히 다른사람의 전화번호를 다 외우고 다니지 않는 것처럼, 일일히 IP 주소를 기억할 수도 없기에, 도메인 네임별 IP를 저장해 놓은 것이 DNS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DNS 레코드를 찾기 위해서는 이전에 방문한 기록이 ..
싱글스레드인 JS에서 비동기 처리는 어떻게 할까?(3) 저번 아티클에서 JS가 지원하는 비동기 방식인 콜백 함수와 Promise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나머지 asinc/await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지난시간에 알아 보았던 프라미스를 async와 await라는 특별한 문법을 사용해 좀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async 함수 async는 function 앞에 위치한다. async function f() { return 1; } function 앞에 async를 붙이면 해당 함수는 항상 프라미스를 반환한다. 프라미스가 아닌 값을 반환하더라도 이행 상태의 프라미스(resolved promise)로 값을 감싸 이행된 프라미스가 반환되도록 한다. 아래 예시의 함수를 호출하면 result가 1인 이행 프라미스가 반환된다. async function f(..
싱글스레드인 JS에서 비동기 처리는 어떻게 할까?(2) 저번 아티클에서 JS에서 어떻게 비동기 처리는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JS가 지원하는 비동기 방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JS가 지원하는 비동기 처리 방식에는 대표적으로 콜백 함수, Promise, async/await 가 존재하는데, 이중 콜백 함수와 Promise에 대해 알아보자. 콜백 함수를 통한 비동기 처리 비동기(Asynchronous) 함수란 쉽게 설명하면 호출부에서 실행 결과를 가다리지 않아도 되는 함수이다. 반대로 동기 함수(Synchronous) 함수는 호출부에서 실행 결과가 리턴될 때 까지 기다려야 하는 함수다. 비동기 함수의 이러한 Non-blocking 이점 때문에, 자바스크립트처럼 싱글 쓰레드 환경에서 실행되는 언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브라우져에서 어..
싱글스레드인 JS에서 비동기 처리는 어떻게 할까?(1) 자바스크립트는 싱글스레드 언어인 것은 프론트엔드를 공부하는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왜 자바스크립트는 싱글스레드인 것이고 그렇다면 비동기는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자바스크립트는 왜 싱글 스레드인 것일까?🧐 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 언어이다.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기 시작할 때 부터 계속 들어왔기에 너무나 당연시 여겼고, 이에 한번도 궁금증을 가져본 적이 없었다. OS 공부를 하다보면 가장 중요한 내용 중 하나가 싱글 스레드와 멀티 스레드의 차이이다. 분명 우리는 싱글 프로세스 보다 일을 처리하는 것이 멀티 프로세스가 더 효율적이며, 멀티 프로세스 보다 더 가벼운 특성으로 인해 멀티 스레드가 더 선호된다고 배운다. 현재 JAVA, C, C++과 같은 다른 언어들은 멀티 스..
‘자바스크립트는 왜 프로토타입을 선택했을까’를 읽고 느낀점와 그 문제의 해답에 관하여 이글은 ‘자바스크립트는 왜 프로토타입을 선택했을까’라는 아티클을 읽고 작성한 글입니다. 아티클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 개발자 / 개발 지망생 이라면 한번 쯤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자바스크립트는 왜 프로토타입을 선택했을까 느낀점 : 이 글을 통해 프로토타입기반의 언어가 클래스 지향언어와는 객체를 바라보는 방식이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클래스 글에서 나온 클래스란 이분법적 사고 방식에서 나온 객체를 바라보는 방식이다 여기서 말하는 이분법적 사고방식이란 남자 / 여자 밖 / 안 낮/밤 위의 예시처럼 대상을 두가지로 나누는 사고 방식을 뜻한다. 그래서 클래스 타입의 객체는 실존 하는 것 / 실제 하지 않는 것 으로 나누는 것이다. 실존하지 않는 클래..